설리, 고블린

말하기를 한참 망설였다. 노래가 좋았고, 이유를 해명해보려 했지만 때를 놓쳤다. 안타까운 죽음 앞에 쉽게 말을 보태고 싶지는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기록하려는 마음이 앞선다. 2019년을 떠나보내고 있으니까. 가십이 아닌 작품으로 고인을 기억하고 싶으니까. 글로켄슈필로 시작하는 도입부가 근사했다. 레드벨벳이 〈Ice Cream Cake〉에서 뮤직박스로 선취했던 스산함이 같은 편곡자 Johan Gustafsson를 통해 이어진 듯했다. 그런데 레드벨벳과 달리 〈고블린 (Goblin)〉은 […]

풀 물병 크로키 숲

1.풀을 읽는 눈빛 입사와 함께 회사 책상에 수경 식물을 들였다. 캘린더를 사나흘 간격으로 어슷썰어 물을 갈았다. 물이 줄고, 뿌리가 자라고, 날이 이어졌다. 마른 뿌리 두엇은 이미 버렸다. 생장에는 이유가 없고 시드는 일도 다르지 않다. 무구함은 어떤 눈에만 지극하다. 사멸은 어떤 눈에만 시리다. 의미는 눈빛으로 맺힌다. 풀을 곁에 두면서 그런 눈빛을 소망했다. 2.물병만 한 생애 한글을 […]

생활인의 비평: 유튜브의 시대, 나약한 연대로서의 비평

1. 생활인의 비평: “왜 쓸까?” 돌잡이 때 나는 뭘 집었더라. 당연히 기억나지 않는다. 사진도 없다. “연필 아닌가?” 기억을 더듬던 어머니의 결론이었다. 그럴 팔자였을까. 쓰는 미래를 자주 상상했다. 장래희망은 유행 따라 과학자도 CEO도 되었지만 읽고 쓰는 장래만은 희망을 넘어 예감의 일부였다. 지금도 글을 쓰고 있으니 돌잡이의 예감이 썩 틀리진 않았다. 돈을 벌고, 글을 쓴다. 나의 글이 […]

올해 여름

쓰지 않아도 좋았다. 몇 번이고 달이 차도 기울지 않을 서정이라면. 오늘은 별수 없이 말을 짓는다. 서울은 폭염이거나 장마였다. 물속을 헤집듯 함부로 걸었다. 직선으로 걸었고 가끔은 달렸다. 직선의 정의 속에는 끝의 개념이 없어서 끝의 행운도 행운의 끝도 예감하지 못했다. 이렇게 살고 싶진 않았던 것 같은데. 달리 더 갖고 싶은 삶도 알지 못해 예감 없이 살았다. 잃을 […]

아버지와 가족

아버지 아버지가 쓰러지셨다. 전화로 소식을 듣고 저 문장을 떠올렸다. 문장을 만들기 전의 기분이 기억나지 않는다. 비극은 말이 될 때만 슬퍼졌다. 문장만이 눈물이 되었다. 엄마랑 누나랑 김치찌개를 먹다 울었고 울지 않으려고 목덜미를 자꾸 쥐어뜯었다. 어떤 노래를 들어야 좋을지 몰랐다. 도망치고 싶었다. 다른 세계로 숨고 싶어 소설을 읽었다. “오늘밤에 월식이 있을 예정이라고 오제가 말했다.” 고작 월식이란 낱말 하나에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