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인의 비평: 유튜브의 시대, 나약한 연대로서의 비평 2018년 4월 1일2020년 8월 4일 게시됨:세계 1. 생활인의 비평: “왜 쓸까?” 돌잡이 때 나는 뭘 집었더라. 당연히 기억나지 않는다. 사진도 없다. “연필 아닌가?” 기억을 더듬던 어머니의 결론이었다. 그럴 팔자였을까. 쓰는 미래를 자주 상상했다. 장래희망은 유행 따라 과학자도 CEO도 되었지만 읽고 쓰는 장래만은 희망을 넘어 예감의 일부였다. 지금도 글을 쓰고 있으니 돌잡이의 예감이 썩 틀리진 않았다. 돈을 벌고, 글을 쓴다. 나의 글이 […]
올해 여름 2017년 8월 19일2020년 8월 4일 게시됨:일기 쓰지 않아도 좋았다. 몇 번이고 달이 차도 기울지 않을 서정이라면. 오늘은 별수 없이 말을 짓는다. 서울은 폭염이거나 장마였다. 물속을 헤집듯 함부로 걸었다. 직선으로 걸었고 가끔은 달렸다. 직선의 정의 속에는 끝의 개념이 없어서 끝의 행운도 행운의 끝도 예감하지 못했다. 이렇게 살고 싶진 않았던 것 같은데. 달리 더 갖고 싶은 삶도 알지 못해 예감 없이 살았다. 잃을 […]
아버지와 가족 2017년 1월 12일2025년 3월 8일 게시됨:일기 아버지 아버지가 쓰러지셨다. 전화로 소식을 듣고 저 문장을 떠올렸다. 문장을 만들기 전의 기분이 기억나지 않는다. 비극은 말이 될 때만 슬퍼졌다. 문장만이 눈물이 되었다. 엄마랑 누나랑 김치찌개를 먹다 울었고 울지 않으려고 목덜미를 자꾸 쥐어뜯었다. 어떤 노래를 들어야 좋을지 몰랐다. 도망치고 싶었다. 다른 세계로 숨고 싶어 소설을 읽었다. “오늘밤에 월식이 있을 예정이라고 오제가 말했다.” 고작 월식이란 낱말 하나에 여러 […]
2016/2017 2017년 1월 12일2020년 8월 4일 게시됨:일기 2016 사람을 좀 잃었고 또 얼마간 얻었다. 만날 수 있더라도 잃었고 만난 적 있더라도 얻었다. 머릿수를 셈해 작년과 올해를 저울질할 수는 없다. 그러니 사람의 문제에 있어서는 비겼다고 말해볼 참이다. 질 줄 알았으므로 비긴 것만으로도 이겼다. 노래에 달라붙은 정념에 무감해지는 것만으로도 이겼다. 2017 그러나 나의 세계는 정체했다. 나에게는 각론이 필요했다. 선언 다음에 올 작지만 확실히 쓸모있는 […]
이스콜라의 무지카: 학생사회와 꿈에 관하여 2016년 12월 8일2025년 3월 8일 게시됨:세계 1. 지구 반대편 무지카(Musica) 여름 내내 브라질을 생각했다. 에어컨과 숲의 초록마저 소용없는 더위 앞에서 나는 지구 반대편 브라질을 떠올렸다. 그건 올림픽의 불꽃 때문도, 그 뒤로 얼룩진 추문과 곤궁 때문도 아니었다. 그저 음악 때문이었다. 하필 애플의 음원 서비스가 한국에 들어왔고 하필 평소 듣던 음악들이 저작권 문제로 빠졌으며 하필 브라질 음악이 많았기 때문이었다. 세 번의 ‘하필’이 겹쳐 브라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