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일 년, 죄책감의 다음

죄책감이 추동하는 삶은 건강하지 않다고 여긴다. 과거에 붙들린 삶과 희생을 강요받는 삶을 갖게 될까 두렵다. 세월호를 바라보는 복잡한 심경에도 얼마간 저런 시선이 섞여 있었음을 고백한다. 군대에서 접한 참사여서 온전히 공감할 때를 놓쳤고 가쁘게 활동하는 친구들을 볼 때면 초라한 나를 더 숨겼다. 얕은 생각이었다. 진정 건강한 삶을 살고 싶었다면 죄책감을 탓하거나 그 연원을 따져 물어선 안 […]

반항은 세트메뉴로, 반 발짝 너머로: 가인, 《Hawwah》

1. 사적인 형편 말을 보태야 한다고 생각했다. 던지고자 하는 말이 이토록 분명한 기획을 받았다면 어떤 말이든 되돌려 던질 책임이 있다고 여겼다. 그렇게 떠밀리듯 글을 쓰기로 했고 그렇게 2주가 지났다. 좋아하면서도 그렇게만 말할 수는 없는 기분이 있어 말을 더듬었다. 그 기분을 정확히 포착하는 일에는 끝내 실패하겠지만 더 늦기 전에 되는대로 옮겨 적는다. 이번에도 가인은 딱 하나의 […]

시간이 모자란다. 그런데 그대는 도대체 왜 쓰는가?

1. 시간이 모자란다. 주말은 추웠다. 난방 돌리는 것도 잊고 드라마만 보다가 감기에 걸렸다. 소문대로 《펀치》는 재밌었다. 빠른 판단으로 전선을 바꿔 그리면서 싸우는 인물들을 보면 기분 좋은 울렁거림을 느꼈다. 가난한 가족과 당위 사이에서 갈등할 때 나는 기껏 에버노트 앱을 켜는데 드라마에선 일생을 건 도박을 벌였다. 한 편이 끝나면 불 꺼진 자취방은 환기가 덜 된 공기처럼 한심해졌다. […]

학기의 결론들

한 학기 동안 여러 글을 썼다. 학부생 나부랭이가 마감에 쫓겨 종이와 데이터 패킷과 기타 등등을 낭비해 출력한 활자 뭉치를 글이라고 불러도 좋다면 그렇다. 이런 것들이 남았다.  늙지 않을 빛을 곁에 두기: 대학과 실천과 꿈에 대한 단상 학문적 솔직함과 공공성의 곤경 나는 무엇을 할까: 고백과 오해와 불만 이후 이론의 쓸모 니체 철학의 위치와 효과: 경계 위에서 […]

아이를 갖는다는 것

1.  태어난 지 백일이 좀 덜 된 조카를 보러 두어 번 진해의 큰누나 집을 들렀다. 아기가 잠든 밤에 자형과 술을 마신 날이 있었다. 자형은 술을 잘 못 마시는 탓에 얼굴을 금방 붉히면서도 그럴듯한 안주를 내려고 애썼다. 그래 이제 처남은 무얼 할 생각인가, 따위의 먹고살 계획을 물어왔다. 갓 복학해 아직은 잘 모르겠단 핑계로 물음을 되돌려주었다. 자형은 […]